share

'용의 해'에 용을 논하다...한국에서의 용

인민화보  |   송고시간:2024-02-08 10:09:02  |  
大字体
小字体
인민화보 | 2024-02-08

다시 용의 해가 왔다. 한국의 거리 곳곳에서 용맹하거나 귀여운 '용'을 만날 수 있다. 전통 음양오행설에 따르면, 2024년은 갑진년이고 목(木) 속성이며 대표색은 청색이라 청룡의 해이다. 유라시아 대륙 동쪽 바다에 위치한 한국은 예부터 청(青)을 숭상하는 풍습이 있어 대통령 관저를 '청와대'라고 하고, 한국 영화의 최고상도 '청룡상'이라고 한다. 청룡의 해는 바다같이 넓고 나무처럼 푸른 것을 상징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기대가 크다.


한국의 용 문화는 중국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용의 이미지, 종류, 기능, 상징 등이 중국과 매우 비슷하다. 하지만 긴 역사 속에서 한국은 자신만의 특징이 담긴 용신 신앙과 민간 풍습을 발전시켰다. 조선 후기의 학자 황윤석(1729-1791)은 <이재유고(頤齋遺稿)>에서 '진(辰)'자 주석을 달면서 "아동방언평용위미리(我東方言評龍為彌里)"라고 했다. 한국어에서 옛 고유어 '미르(彌里)'는 용을 가리킨다. 언어학의 관점에서 보면 이 단어는 '물'이나 아직 발생하지 않은 조짐의 '미리'와 관계가 있다. 이것을 통해 오래전 한국인의 마음속에 있던, 구름을 부리고 비를 내리는 신수(神獸),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능력을 가진 신(神)인 '용'의 이미지를 그려볼 수 있다.


하늘에 기대 먹고 살았던 시대에 좋은 날씨는 일반 백성이 가장 바라는 것이었다. 신라시대 사람들은 사해제(四海祭)를 지내며 용왕에게 좋은 날씨와 풍요로운 한 해를 빌었고, 근해 어민도 바다의 평안을 빌었다. 고려시대의 사해사독제(四海四渎祭), 조선시대의 용신제(龍神祭) 모두 이 전통이 이어진 것이다. 오늘날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의 갯제,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방주용왕송신제, 강원도 속초의 용왕제 등 전통 민속 활동에도 과거의 흔적이 남아 있어 용신 숭배는 천 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용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사실 예측할 수 없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중국 문화에서 '용'의 이미지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 지고지상의 권력과 합쳐졌다. 한(漢)나라 유학의 영향으로 조선의 왕도 용포를 입어 권위를 나타냈다. 반면 민간에서 용의 이미지는 자연에 대한 경외와 동경으로 더 많이 나타났고 평안과 풍년의 소박한 바람을 더 많이 담고 있었다.


한국에서 유명한 <수로 부인> 이야기에서 여주인공이 미모 때문에 바다의 용에게 잡혀가자 그의 남편인 순정공이 백성들에게 노래를 부르게 했다. 사람들의 말이 무서운 용은 수로 부인을 돌려주었다. 순정공이 바닷속 일을 묻자 용은 그에 관한 이야기 또한 들려주었다. 또 다른 유명한 이야기는 <심청전>으로 효녀 심청이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제물이 되어 바다에 빠지자 용왕이 구해주었고 해피 엔딩을 맞았다. 즉 '사람들의 말'이 도리를 모르는 용도 도리를 따르게 할 수 있고, 일반 백성인 효녀도 자신의 진심으로 용왕을 감동시킬 수 있었다. 이들 이야기에서 무당과 제사의 흔적을 볼 수 있고, 한 세대 한 세대 사람들이 바다와 예측할 수 없는 운명을 만났을 때 보여준 용기와 지혜를 알 수 있다. 세상에 용은 없지만 용기와 희망이 있으면 알 수 없는 미래에 어쩌면 마음 약한 용신이 정말 나타날 수도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