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제 연휴는 귀향과 여행에 더없이 좋은 시기이자 소비 열풍을 자극하는 시기이다.
올해 춘제 연휴 기간 중국 내에서는 '남북왕래' 여행이 끊이지 않았다. 알리페이 데이터에 따르면 남부 지역 사람들은 베이징, 하얼빈, 선양, 칭다오, 시안 등 북부 지역 여행을 선호했으며 북부 지역 사람들은 싼야, 쿤밍, 샤먼, 주하이, 취안저우 등 남부 지역 여행을 선호했다.
해외여행 관련 데이터는 알리페이와 위챗이 제공하는 자료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같은 기간 싱가포르, 일본, 말레이시아, 한국, 중국 홍콩 등지에서 소비 결제가 비교적으로 활발했으며 스위스, 오스트리아, 튀르키예 등 신흥 여행지도 많은 주목을 받았고 룩셈부르크는 위챗페이의 해외 오프라인 거래 건수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올해 춘제 연휴 기간 중국의 미용, 음료, 생활오락 등 분야에서 소비가 매우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위챗 데이터에 따르면 춘제 전 일주일 동안 헤어, 네일아트, 속눈썹 연장 등을 포함한 미용 산업의 위챗페이 소비 건수가 전주 대비 29% 증가했다. 또 음료 중 밀크티의 인기가 압도적이었으며 위챗 인기 검색어 상위 30위 중 밀크티 브랜드가 5자리를 차지했다. 생활오락 산업의 관련 위챗페이 소비 건수는 춘제 전주 대비 41% 늘어났다.
또한 녹색 소비 모델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춘제 연휴 전 일주일 동안 알리페이 렌터카 주문은 전년 동기 대비 140%, 카메라 렌탈 주문은 180% 증가했다.
국내 춘제 소비 형식이 다양해지는 동시에 입국 관광객의 소비도 확대됐다. 위챗 데이터에 따르면 1월 28일(섣달 그믐날)~2월 2일(정월 초닷새)입국 관광객의 소비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4% 늘어났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항저우 등 기존의 인기 목적지 외에도 올 춘제 연휴 기간 입국 관광객들은 알리페이 등을 활용해 쑤저우, 중산, 포산, 시안, 장먼, 우시, 취안저우, 난징, 청두, 샤먼 등지를 여행했다.
문화, 과학기술, 자연 풍광은 외국인이 중국을 찾는 주요 이유인데 올 춘제 연휴 기간 베이징 고궁박물원, 이화원, 상하이 과학기술관, 예원(豫园), 쓰촨 주자이거우, 리장 위룽설산,장자제 우링위안과 톈먼산 관광지, 광저우 창룽관광리조트, 자싱 우전 고진(古鎭) 관광지, 청두 진리 옛 거리는 입국 관광객들이 '차이나 인증'을 하는 10대 관광지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