겅솽(耿爽) 유엔 주재 중국 부대표가 7일(현지시간)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에서 조선반도 문제 관련 발언 중 "현 상황에서 안보리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제재와 압박이 아닌 대화 재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겅 부대표는 "현재 조선반도 정세는 여전히 복잡하고 긴장감이 고조되어 있으며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이 가득하다"면서 "중국은 반도문제 관련 당사국이 장기적 안목으로 큰 구도에 주안점을 두고 침착하고 차분한 태도로 긴장과 갈등을 악화시키는 그 어떤 언행도 삼가며 정세 악화 방지와 상황 진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들어 개별 국가가 다양한 형태로 반도에 전략무기를 전개하고 지속적으로 군사훈련을 실시하면서, 각 당사국의 적대감이 고조되고 상황이 극도로 위험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작은 실수 하나만으로도 예기치 못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중국은 이러한 일촉즉발의 위험한 행위를 조속히 중단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겅 부대표는 "최근 당사국은 적극적인 대화 접촉의 신호를 방출했다"면서 "중국은 관련 당사국이 기회를 잡아 서로 적극적으로 교류해 상호 신뢰를 쌓고 반도문제 협상을 위한 대화 재개를 하루속히 공동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이 우선적으로 선의를 보여야 하고 합당한 조치를 통해 대화 재개 의사를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겅 부대표는 "중국은 줄곧 제재는 수단일 뿐 목적이 될 수 없고 시종일관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고 밝혔다. 또 "안보리가 채택한 대북 결의안에는 제재 뿐만 아니라 정치적 해결과 인도주의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자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며 "불균등한 '선택적 집행'을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겅 부대표는 "최근 몇 년 미국은 반도문제를 구실로 '인태 전략'을 추진하며 군사동맹을 모아 '억지력 확장'을 강화해 왔고 반도와 주변에 대한 전략 역량 배치를 확대해 왔는데 이는 진영 대립과 '신냉전' 구도를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라면서 "이러한 행위는 반도문제의 정치적 해결에도 도움이 되지 못할 뿐더러 중국을 비롯한 역내 국가의 안보 이익도 엄중하게 훼손하기 때문에 더 심각한 안보 딜레마를 초래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중국은 미국이 이러한 위험한 행보를 즉시 중단하고 반도문제를 자국의 지정학적 전략의 빌미와 도구로 삼는 것을 중단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겅 부대표는 "중국은 줄곧 반도문제의 본질은 안보문제라고 여겨왔고 그 뿌리는 평화 메커니즘이 아직 수립되지 않았고 관련 당사국 간 상호 신뢰가 결여된 것에 기인한다"고 강조했다. 또 "관련 당사국이 정치적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하길 바라고 안정을 유지하고 혼란을 방지하며 대화를 촉구하는 중국의 노력에 부응해주길 바라며 대화로 상호 신뢰를 쌓아 평화체제가 조속히 정착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