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수치로 보는 '제14차 5개년 규획' 성과…체육강국 건설, 눈부신 성적표

중국망  |   송고시간:2025-08-21 16:01:48  |  
大字体
小字体
중국망 | 2025-08-21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19일 '중국 경제의 고품질 발전 성과' 시리즈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가오즈단 국가체육총국 국장은 '제14차 5개년 규획(14·5)' 기간 체육강국 건설의 성과를 소개했다.

전 인민 신체 단련, 새로운 성과 달성

2024년 말 기준, 중국 전국 체육 시설 면적은 42억3000만㎡로, '제13차 5개년 규획' 말보다 11억3100만㎡ 증가했다. 이로 인해 대중의 신체 단련 환경이 한층 편리해졌다. 올해 8월 8일, '전 인민 신체 단련의 날(全民健身日)'에는 전국적으로 2만2천여 건의 대회가 열렸고, 직접 참가 인원은 1100만 명을 초과했다. 처음으로 '대지역 대회(大區赛)' 형식으로 열린 전국 인민 신체 단련 대회는 약 200만 명이 참여했고, 경기 수는 6000회 이상을 기록했다. 2024년 발표된 ‘대중성 체육경기 활동 안전 평가 작업 지침’은 전 인민 신체 단련 대회 활동 분야의 첫 '국가 표준'으로 도입됐다.

현재 사회 체육 지도원 수는 371만 명에 이르렀고, 정기적으로 체육 운동을 하는 인구 비율은 38.5%를 넘어섰다. 과학적 신체 단련 지도는 앱, 짧은 동영상, 라이브 방송을 통해 가정마다 보급되고 있다. '3억 명이 참여하는 빙설 운동'은 빙설 문화·산업의 새로운 발전을 이끌었다. '14·5' 기간 동안 국가는 누적 56억5000만 위안을 투입해 공공체육시설을 무료 또는 저렴하게 개방했고, 이는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잡았다.

경기 스포츠, 강국의 새로운 위상 부각

2024년 말 기준, '14·5' 기간 중국은 총 519개의 세계 챔피언을 차지, 세계 기록을 68차례 경신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고, 파리 올림픽에서는 해외 대회 사상 최고의 성과를 냈다. 프리스타일 BMX, 리듬체조, 아티스틱 스위밍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따내며 종목 발전의 역사적 돌파구를 열었다.

중국이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종목 수는 '14·5' 이전의 21개에서 24개로 늘었으며, 금메달리스트 배출 성(省)도 20개에 달했다. 중국은 당당히 올림픽 강국 반열에 올라서며 새로운 시대 중국의 이미지를 뚜렷이 보여줬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항저우 아시안게임,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청두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및 월드게임 등을 성공적으로 개최해 '동계올림픽 정신'을 집약시키는 등 중국식 현대화 체육 성과는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체육 산업, 경제 발전의 새로운 성장점

'14·5' 기간 중국의 체육 산업은 안정적으로 성장해 2023년 전국 체육 산업 총 규모는 3조6700억 위안으로 연평균 성장률 10.3%, 부가가치 1조4900억 위안을 기록했다. 정부는 빙설 경제·야외 스포츠 관련 정책을 내놓아 체육 산업의 고도화와 효율화를 추진했다.

'대회가 관광지, 거리, 상권으로 들어간다', '대회를 따라 여행을 간다'와 같은 새로운 흐름이 확산되고, '쑤차오(蘇超)', '춘차오(村超)' 같은 지역 축구 리그가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쑤차오'의 경우, 경기당 6만 명이 넘는 관중을 동원하며 장쑤 전역에서 380억 위안의 다방면 소비를 촉진시켰다. 

올해 상반기 허베이, 저장, 푸젠 등 7개 지역에서 511회의 주요 경기 활동이 모니터링 되었으며, 체육 및 관련 소비 160억 위안 이상을 견인했다. 경기당 평균 3000만 위안이 넘는 소비 효과가 발생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 기간에는 인근 지역 소비가 최대 40% 이상 증가했다. 정부는 81개의 국경절 및 춘절 체육 관광 프리미엄 노선, 19개의 야외 스포츠 프리미엄 노선, 26개의 국가급 스키 리조트를 선보였다. 빙설 산업 규모는 2020년 3811억 위안에서 2024년 9700억 위안으로 커져 연평균 26.3% 성장하며 '차가운 자원'이 '뜨거운 경제'로 바뀌었다.

청소년의 심신 건강 증진

청소년 경기 활동 공급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시범·선도 역할을 강조했다. 대표적으로 '달려라, 소년!' 테마 체육 활동을 만들어 '14·5' 기간 동안 14만5000여 회 개최했으며, 참가 청소년은 1억5100만 명(연인원)에 달했다.

정부는 '아동 및 청소년 과학적 신체 단련 20조'를 배포해 운동 방식, 운동량, 운동 시간 등 8개 측면에서 과학적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에게 흔한 근시, 비만, 척추 측만증 문제를 겨냥해 12개 성(구·시)에서 운동 개입, 건강 교육, 추적 관찰, 데이터 구축, 효과 평가가 결합된 체질 건강 관리 모델을 형성했다.

또한 '14·5' 기간 동안 전국 12개 성구, 112개 현, 800여 개 초·중학에 50여 개 대학 3200여 명의 자원봉사자를 파견해 체육 수업과 방과 후 활동을 30만 교시(校時) 넘게 운영, 150만 명 이상의 학생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했다.

체육 개혁·개방의 새로운 국면

체육강국 건설 목표를 겨냥해 체육 관리 체계와 역량 현대화 수준 제고에 힘쓰며, 발전 제약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 개혁을 추진했다.

파리 올림픽에서는 사회적 역량을 광범위하게 흡수해 프리스타일 BMX, 서핑 등 18개 세부 종목이 훈련·준비 혁신을 통해 역사적 돌파를 이뤘다. 도시와 농촌의 유휴 부지를 활용한 내실형 발전으로 주민 체육 활동 기반을 확충했고, 체육 발전 방식을 개혁해 자원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또한 체육강국 건설 지표체계를 연구·수립하고, 사회적 역량의 경기 스포츠 인재 양성 기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과를 거뒀다. '체육법'과 600여 개 항목의 체육 프로젝트 제도 규정을 개정·보완하고, 체육중재센터를 설립해 체육 법치 건설을 새로운 단계로 이끌었다.

특히 축구 개혁·진흥을 본격 추진해 제도·메커니즘을 정비하고, '승부조작·불법도박·부패' 근절을 강화해 중국 축구의 건강한 발전을 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