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이론: 등가(Equivalence)- Peter Newmark

(번역이론, 등가,NewMark,翻译理论 等价)

Fecha de publicación:2015-11-17 | Publicado por:中国网

Newmark: 어의적(semantic) 번역과 소통적(communicative) 번역


1. Approaches to Translation(1981), translated to Arabicand Italian

  A Textbook to Translation(1988), translated to Chinese, Galician, Slovene, Greekand Spanish

 


2. Newmark생각하는 효과의 등가(equivalenteffect): “환상(illusory)"에불과

 ☞ “어디에 책임성(loyal) 있게번역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립, 즉, SL과 TL을각각 강조하는 입장 간의 의견 차이는 번역 이론과 실제에 있어언제나 부딪히는 문제로 남아 있을 것(Newmark1981:38)

 “(원천)텍스트가 TL의 시공(時空)을 벗어난 경우에는 발현될 수 없다” (Newmark 1981:69)

     예: 호머를 현대 영국 영어로 번역하는 경우

  - 어의(語義)적 번역(semantic translation), 소통적번역(communicative translation)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런 차이를극복

 


3. 어의적 번역과소통적 번역

 ☞ “소통적 번역에서는 원문의 독자에게 주었던 효과와 가능한 한 가장가까운효과를 번역문에서도 달성하려한다. 어의적 번역에서는, 목표 언어의 의무 구조와 통사 구조가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최대한 원문의정확한맥락적의미(contextualmeaning)를 전달하려한다.” (Newmark 1981: 39)

 

 

 1) 소통적 번역: Nida의 동태적 등가(dynamic equivalence)와 유사

    ☞ 독자들에게 “접시에 모든 것을 담듯이(to be handed everything on a plate)” 모든 것을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 제기

 2) 어의적 번역: Nida의 형태적 등가(formalequivalence)와 유사

  -직역과 다르다: “맥락을 존중하고”, 해석하며, (비유 등을) 설명까지 한다. 

    (↔ 직역은 ST의 어휘와통사 구조를 최대한 살리고,심한 경우는 단어 對 단어 치환)


                       표 Newmark어의적ㆍ소통적 번역 비교  

 

기준

어의적 번역

소통적 번역

발신인/수신인 초점

transmitter/

addressee focus

발신인 개인의 사고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 언외(言外)의 내포적 의미가 전체메시지에 중요할 경우에만 TT독자의 이해를 도움

주관적이고, TT 독자에게 초점을 맞추며, 특정 언어와 문화에 초점을 둠

문화

SL 문화 내에 머뭄

TL 문화에 외래(外來)요소(foreignelements) 전달함

시간과 기원

특정 시공에 고정되지 않으며, 세대가 바뀔 때마다 새로이 번역해야 함

한시적이며, 번역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 근간을 둠

ST와의 관계

언제나 ST의 ‘하위(inferior)'에있으며, 의미의 ’상실(loss)'이있음

ST보다 ‘뛰어날 수(better)'도 있으며,의미적 내용(semantic content)상실하더라도 힘(force)명료성을 ’획득(gain)'할수 있음

SL의 형(form)

ST가 언어 규범(language norm) 일탈하는 경우, TT에서도 이를 재(replicate)해야 하며, ST의 원저자에 ‘책임성(loyalty)'이있어야 함

SL의 형태를 존중하나, TL 규범에의 ‘책임성(loyalty)'을우선시 함

TL의 형태

보다 복잡, 어색, 상세, 응축된 모습을 띠며, 과대 번역(誇大 飜譯,overtranslate)의경향을 보

보다 매끄럽고, 간단명료하며, 직접적이고, 보수적인모습을 띠며, 과소 번역(寡少 飜譯, undertranslate) 경향을 보임

적절성

appropriateness

leffusion)', 중요한정치문학 작품, 자서전, ‘개인의 심경 토로(persona적 성명 등에 적절함

대부분의 텍스트, 예컨대, 비문학, 전문적(technical)ㆍ정보적(informative)텍스트, 홍보 텍스트, 정형(standardized)된 텍스트, 대중소설 등에 적절함

평가 기준

ST의 의미를 얼마나정확하게 재(reproduction)했는가?

ST의 메시지를TT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소통(communication)했는가?


 


4. 직역(literal translation)에 대한 생각

 1)어의적 번역과 소통적 번역 모두에서 최상의 접근법으로 제시됨

 ☞ “소통적 번역과 어의적 번역에서, 효과의 등가가확보된 경우, 단어 對 단어의 직역은 최상의 번역일 뿐만 아니라, 유일하게 타당한 번역 방법이다.” (Newmark1981:39)

 2) 인지 과정(cognitive process)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서 번역자는 어려운 문제에 힘을 쏟을 수 있(Levý 1967/2000, Toury 1995)

 3) 어의적 번역과 소통적 번역이 상충할 시에는소통적 번역을 택해야 함

    예: bissiger Hund, chien méchant ↛ dog that bites, bad dog ⇨ beware the dog!

 


5. Newmark에 대한고찰

 1) 번역 과정과 TT 독자의 중요성에 대해 Nida와 한 목소리

 2) 과다한 술어를 양상

   예: Julian House의 ‘외현적(外現的, overt) 번역’과 ‘내재적(內在的, covert) 번역’

 3) 지나친 처방(處方論, prescriptivism)

 4) 번역 평가에 사용하는 표현들에서는이른바 “언어학 이전의 번역 이론" 시기의 흔적


 

6. About Prof. Peter Newmark (1916~)


 

1)Professor of Translation, University of Surrey (UK)      

   BA (University of Cambridge)

   FIL (Life Member, Institute of Linguistics)

   Laurea h.c. (University of Trieste)

   PhD (hon. Baptist University, Hong K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