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mark: 어의적(semantic) 번역과 소통적(communicative) 번역
1. Approaches to Translation(1981), translated to Arabicand Italian
A Textbook to Translation(1988), translated to Chinese, Galician, Slovene, Greekand Spanish
2. Newmark가생각하는 효과의 등가(equivalenteffect): “환상(illusory)"에불과
☞ “어디에 책임성(loyal) 있게번역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립, 즉, SL과 TL을각각 강조하는 입장 간의 의견 차이는 번역 이론과 실제에 있어언제나 부딪히는 문제로 남아 있을 것” (Newmark1981:38)
☞ “(원천)텍스트가 TL의 시공(時空)을 벗어난 경우에는 발현될 수 없다” (Newmark 1981:69)
예: 호머를 현대 영국 영어로 번역하는 경우
- 어의(語義)적 번역(semantic translation), 소통적번역(communicative translation)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런 차이를극복
3. 어의적 번역과소통적 번역
☞ “소통적 번역에서는 원문의 독자에게 주었던 효과와 가능한 한 가장가까운효과를 번역문에서도 달성하려한다. 어의적 번역에서는, 목표 언어의 의무 구조와 통사 구조가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최대한 원문의정확한맥락적의미(contextualmeaning)를 전달하려한다.” (Newmark 1981: 39)
1) 소통적 번역: Nida의 동태적 등가(dynamic equivalence)와 유사
☞ 독자들에게 “접시에 모든 것을 담듯이(to be handed everything on a plate)” 모든 것을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 제기
2) 어의적 번역: Nida의 형태적 등가(formalequivalence)와 유사
-직역과 다르다: “맥락을 존중하고”, 해석하며, (비유 등을) 설명까지 한다.
(↔ 직역은 ST의 어휘와통사 구조를 최대한 살리고,심한 경우는 단어 對 단어 치환)
기준 | 어의적 번역 | 소통적 번역 |
발신인/수신인 초점 transmitter/ addressee focus | 발신인 개인의 사고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 언외(言外)의 내포적 의미가 전체메시지에 중요할 경우에만 TT독자의 이해를 도움 | 주관적이고, TT 독자에게 초점을 맞추며, 특정 언어와 문화에 초점을 둠 |
문화 | SL 문화 내에 머뭄 | TL 문화에 외래(外來)적 요소(foreignelements)를 전달함 |
시간과 기원 | 특정 시공에 고정되지 않으며, 세대가 바뀔 때마다 새로이 번역해야 함 | 한시적이며, 번역 당시의 시대적 맥락에 근간을 둠 |
ST와의 관계 | 언제나 ST의 ‘하위(inferior)'에있으며, 의미의 ’상실(loss)'이있음 | ST보다 ‘뛰어날 수(better)'도 있으며,의미적 내용(semantic content)을 상실하더라도 힘(force)과 명료성을 ’획득(gain)'할수 있음 |
SL의 형태(form)사용 | ST가 언어 규범(language norm)을 일탈하는 경우, TT에서도 이를 재현(replicate)해야 하며, ST의 원저자에 ‘책임성(loyalty)'이있어야 함 | SL의 형태를 존중하나, TL 규범에의 ‘책임성(loyalty)'을우선시 함 |
TL의 형태 | 보다 복잡, 어색, 상세, 응축된 모습을 띠며, 과대 번역(誇大 飜譯,overtranslate)의경향을 보임 | 보다 매끄럽고, 간단명료하며, 직접적이고, 보수적인모습을 띠며, 과소 번역(寡少 飜譯, undertranslate)의 경향을 보임 |
적절성 appropriateness | leffusion)', 중요한정치문학 작품, 자서전, ‘개인의 심경 토로(persona적 성명 등에 적절함 | 대부분의 텍스트, 예컨대, 비문학, 전문적(technical)ㆍ정보적(informative)텍스트, 홍보 텍스트, 정형화(standardized)된 텍스트, 대중소설 등에 적절함 |
평가 기준 | ST의 의미를 얼마나정확하게 재생(reproduction)했는가? | ST의 메시지를TT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소통(communication)했는가? |
4. 직역(literal translation)에 대한 생각
1)어의적 번역과 소통적 번역 모두에서 최상의 접근법으로 제시됨
☞ “소통적 번역과 어의적 번역에서, 효과의 등가가확보된 경우, 단어 對 단어의 직역은 최상의 번역일 뿐만 아니라, 유일하게 타당한 번역 방법이다.” (Newmark1981:39)
2) 인지 과정(cognitive process)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서 번역자는 어려운 문제에 힘을 쏟을 수 있다(Levý 1967/2000, Toury 1995)
3) 어의적 번역과 소통적 번역이 상충할 시에는소통적 번역을 택해야 함
예: bissiger Hund, chien méchant ↛ dog that bites, bad dog ⇨ beware the dog!
5. Newmark에 대한고찰
1) 번역 과정과 TT 독자의 중요성에 대해 Nida와 한 목소리
2) 과다한 술어를 양상
예: Julian House의 ‘외현적(外現的, overt) 번역’과 ‘내재적(內在的, covert) 번역’
3) 지나친 처방론(處方論, prescriptivism)
4) 번역 평가에 사용하는 표현들에서는이른바 “언어학 이전의 번역 이론" 시기의 흔적
6. About Prof. Peter Newmark (1916~)
1)Professor of Translation, University of Surrey (UK)
BA (University of Cambridge)
FIL (Life Member, Institute of Linguistics)
Laurea h.c. (University of Trieste)
PhD (hon. Baptist University, Hong K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