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으로 본 각국 지하철의 공통점
지하철은 현대 도시생활에서 없으면 매우 불편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는데 거의 모든 주요 도시들은 지하철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록 대도시들마다 외관상 제각각 다른 지하철노선을 가지고 있지만 수학적인 각도에서 보면 많은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이번 발견은 기존 시스템의 병폐를 찾는데 도움이 되며 더 효율적이고 빠른 교통운수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번 연구를 맡은 프랑스 국가과학연구센터 통계물리학자 등의 과학자들은 바르셀로나, 베이징, 뉴욕, 베를린, 시카고, 마드리드, 멕시코, 모스크바, 파리, 서울, 도쿄 등의 지하철노선을 분석한 후 이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록 통일된 규획이 있는 것도 아니고 제각기 다른 역사와 지리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각국의 지하철 시스템은 설계 면에서 놀라운 일치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노선분포 상에서 이들 지하철 시스템은 거의 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절반 정도의 지하철역이 지하철노선도의 핵심구역 밖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의 중심에서 그곳과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지하철역과의 거리는 지하철 시스템의 핵심구역 직경의 2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을 보이는 이유는 인류가 자기조직 관리에 있어서 자기도 모르게 모종의 보편적인 원칙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런 원칙을 이해하면 도시 규획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며 향후 도시 건설 계획에도 유리하다고 한다
文章来源: 中国网
关键词:[ 지하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