您的位置:Home > 기사

[중한만담] 한국 대학과 ‘장원급제’

字号: A A A
korean.china.org.cn | 时间: 2015-08-21 09:41:57

한국의 대학들은 입시에서 1등을 한 ‘장원급제’ 학생을 탐내지 않는다. 딱히 그래야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도 중국처럼 대학입시가 전국에서 일괄적으로 실시되고, 성적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 하지만 입시에서 1등을 한 사람이 누군지 굳이 알아야 한다면 이론적으로 딱 1명 밖에 안 나올 텐데, 이 1명을 대체 누가 모셔가겠는가?
 
 
  중국을 보자. 중국에서는 성, 시, 심지어 현(縣) 단위까지 장원급제한 학생을 내세울 수 있다. 게다가 문과와 이과로 나누기까지 한다. 이 때문에 대학 입시철이 되면 중국의 명문 베이징대와 칭화대가 전국 각지로 뛰어가 여러 수단과 방법을 통해 신입생을 유치하는 장면이 벌어지곤 한다.
 
 
  사실 한국에서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고3 마지막에 보는 대학입시시험인 ‘수능시험’ 외에도, 3년 동안의 내신이 합격을 결정짓는 수시도 있다. 면접을 통해 학생들을 뽑는 대학도 상당히 많다. 성적이 뛰어난 특기생은 시험을 보지 않고 곧바로 입학이 결정되기도 한다. 상황이 이러하니, 장원급제한 학생을 어떻게 따질 수 있겠는가? 따라서 한국에서는 사실상 장원급제한 학생을 서로 모셔가려는 개념이 없다.
 
 
  그렇지만 한국대학도 신입생 유치에는 마찬가지로 열을 올린다. 한국의 수많은 대학 가운데 최고의 위치는 국립 서울대학교이다. 서울대학교의 독보적 지위는 이제껏 흔들리거나 다른 대학의 추격을 받은 적이 한번도 없다. 매년 고등학교 졸업생 가운데 성적이 가장 뛰어난 학생들만 몇천명이 되기 때문에 힘들여 학생 모집에 열을 올릴 필요도 없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들은 대부분 서울대 진학을 택한다. 우수한 학생들을 데려가고 싶은 다른 대학에는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
 
 
  자연히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을 모셔가기 위한 쟁탈전은 서울대를 제외한 상위 몇 개 대학에서 주로 이뤄진다. 그렇다면 고려대와 연세대 중 누가 2위이고 누가 3위인 것일까? 한국에서는 이것이 영원히 풀리지 않는 논쟁거리다. 종종 우발적인 사건 하나로 양측 사이에는 설전까지 벌어지곤 한다. 필자는 딸이 고려대에서 수학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고려대 편이다. 연세대가 더 좋다는 사람이 나타나면 발끈해서 따지고 들곤 한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더니, 이것이 좋은 예가 아닐까 싶다.
China.org.cn 트위터 & 페이스북을 방문하시면 위 기사에 대한 의견 등록이 가능합니다.
文章来源: 人民画报
关键词:[ 한국 대학 장원급제]
1   2    


评 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