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수출신장을 통해 수조달러에 달하는 달러를 보유하게 됐고 세계의 공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우리는 여기서 중국의 가치사슬에서의 입지상승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버드대 워글 교수는 20세기, 그 어떤 지도자도 덩샤오핑(邓小平)만큼 수많은 사람들의 생활을 바꿔 놓진 못했다고 장담했다.
일본과학기술진흥원 중국종합연구교류센터의 스나미 아츠시 연구원은 ‘환치우스바오(环球时报)’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3중전회 공보(보도문)는 ‘대담하고 전례없는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빈부격차, 환경오염, 완전한 시장경제제도 도입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본에서 아베정권 역시 가장 어려운 제도개혁을 실시하고 있다며 중국의 시진핑(习近平) 주석의 지도로 개혁을 성공적으로 일궈낸다면 이는 일본에게 있어서도 좋은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南华早报)’지는 자사 논평에서 중국 최고 지도층은 각각의 의견차를 조율할 수 있고 기득권세력집단에게 일부 분야에 있어서 희생을 각오하도록 설득하여1978년의 개혁개방과 2001년의 WTO가입과 같이 최적의 여건하에 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일, 홍콩 ‘밍파오데일리뉴스(明报)’는35년전의 3중전회는 그야말로 혁신이었고 변혁을 갈망하던 중국인은 이에 적극 동참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3중전회에서 내세운 전면적 개혁심화는 기득권층의 이익과 상충하고 새로운 조정과 분배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기득권층 스스로의 이익에 불리하게 작용할 경우가 많을 것이고 이때 리스크에 대한 그들의 수용능력은 취약할 수 밖에 없다고 보도했다.